슈뢰딩거의 고등어
리눅스 명령어 본문
자주 사용하는 명령어들을 정리한다.
계정 생성 및 권한 변경
useradd jhmin -m -s /bin/bash
passwd jhmin
sudo usermod -a -G sudo jhmin
작업 계정 변경
Su jhmin
열려 있는 포트 확인
netstat -ntlp
포트 방화벽 설정
ufw allow from 8.8.8.8 proto tcp to any port 5115
ufw allow from 8.8.8.8 proto tcp to any port 5116
ufw deny 5114 && ufw delete deny 5114
ufw deny 5115 && ufw delete deny 5115
ufw deny 5116 && ufw delete deny 5116 :ufw rule delete
ufw status verbose
ufw enable
service ufw restart
포트 사용중인 프로세스 확인하기
netstat -tulpn | grep 포트번호
통신 확인
telnet 8.8.8.8 5115
telnet google.com 5115
프로세스 작동 확인 및 죽이기
root@HQ-COM-ELK-01:/usr/share/ELK# ps -ef | grep elk.py
root 1278 1241 0 10:12 ? 00:00:00 python2.7 -u /usr/share/ELK/elk.py
root 2362 1608 0 10:19 pts/0 00:00:00 grep --color=auto elk.py
root@HQ-COM-ELK-01:/usr/share/ELK# kill 1278
디렉터리 내용 및 존재 삭제 (다 삭제하기)
rm -rf
uwsgi 작동 확인
service uwsgi status
tail -f /var/log/uwsgi/app/uwsgi.log
파일 검색 (from root) 와일드카드 사용 가능
find / -name "*inputter*"
서버 간 파일 전송
IP 111.222.333.444 서버의 abc라는 계정으로 /home/abc/index.html 파일을 로컬서버 /home/me/ 디렉터리에 전송 받기
scp abc@111.222.333.444:/home/abc/index.html /home/me/
. tar 파일 압축 풀기
tar -xvf aaa.tar
tar -zxvf [gz 로 압축된 파일]
tar -zxvf aaa.tar.gz
xz -d [xz로 압축된 파일]
xz -d archieve.tar.xz
unxz [xz로 압축된 파일]
unxz archieve.tar.xz
원격 접속 (리눅스 -> 윈도우즈)
rdesktop 0.0.0.0 -g 1680*1500 -u jhmin -p 12345678
venv (가상 환경) 실행
source venv/bin/activate
디렉터리 이름 변경
mv a b // 폴더이름 a, b로 변경
mysql 접속
mysql -h 0.0.0.0 -u jhmin -p //mysql 접속방법
실행파일 생성
crawler.py를 백에서 실행하는 실행파일을 생성한다.
$ vim clear.sh
// clear.sh 파일 내부에 작성한다.
#!/bin/sh
nohup python3 crawler.py &
$ chmod +x clear.sh // 모드 변경
$ ./clear.sh // 실행
// print안찍힐경우
sys.stdout.flush()
print('a', flush=True)
모든 프로세스 한 번에 다 죽이기
크롤링 등 작업을 하다 보면 좀비 프로세스가 생길 경우가 있다. 그럴 경우 한 번에 다 프로세스 명으로 죽일 수 있다.
pkill -9 -ef chrome
os 확인
uname -a
호스트네임 변경
hostnamectl set-hostname abc // abc 로 변경한다.
메모리 사용량 확인 명령어
free -m
캐시 메모리 해제 명령어
echo 1 > /proc/sys/vm/drop_caches // pagecache 해제 명령어
echo 2 > /proc/sys/vm/drop_caches // dentry 및 inode 캐시 메모리 해제 명령어
echo 3 > /proc/sys/vm/drop_caches // pagecache, dentry, inode 캐시 메몰 모두 해제시
vim 환경에서 줄 번호 표시하기, 없애기
:set number
:set nonum
크론탭 (crontab)
* */1 * * * python /home/pi/Temperature/TemperChecker.py > /dev/null 2>&1 &
@reboot /usr/local/sbin/zabbix_agentd
@reboot service syslog-ng restart
크롤링 headless 탐지 피하기
https://beomi.github.io/2017/09/28/HowToMakeWebCrawler-Headless-Chrome/
'tech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네트워크] TCP 통신과 UDP 통신의 차이 (0) | 2022.01.30 |
---|---|
리눅스 네트워크 문제해결 (0) | 2022.01.25 |
데이터 단위 KB, MB, GB, TB, PB (0) | 2022.01.15 |
컴퓨터의 기본 원리 및 각 부품의 역할 (CPU, RAM, HDD/ SSD, VGA) (0) | 2022.01.15 |
키크론 k3 레트로 후기 (적축) (0) | 2022.01.13 |
Comments